Life/Monolog
즐거움, 공통점, 착각
shinyroot
2007. 10. 28. 20:11
* 즐거움
쇼바이벌을 보면서 마지막 두 팀에게 전팀들에게 혹평을 해왔던 심사위원들이
무대위에서 즐기는 모습이 좋았다고 했고, 그리고 그 두팀은 나란히 1,2위를 했다.
갑자기 그 말을 듣고 있자니 공감이 되면서 05년 후반기에 코엑스 잼보리 배틀 대회에 나간
기억이 생각났다.. 원래는 퍼포먼스로 4팀을 뽑아 배틀을 진행하는 것이어서 배틀 레파토리를
상대적으로 적게 준비하고, 퍼포먼스를 더 연습 했던게 사실인데.. 거의 당일에 퍼포먼스는
그냥 하는것이고 배틀은 모든 팀들이 경합을 버리는것으로 하겠다고 통보되어..당혹감을
감추지 못한적이 있다.. 그날 퍼포를 하기전에 운영 방식에 짜증만 나있었고 게다가 시작부에서
애들이 미끄러운 바닥에서 실수를 하는 모습을 보고 무대까지 맘에 안들기 시작했다..
사실 온통 기분 좋지 않은 얼굴 표정으로 공연을 했고.. 자꾸..이제 무대에 설 날이 그리 많지 않은데
... 라는 생각만 하게 됬었다.. 사람들의 반응도 그랬지만 안무를 하면서 그때 심사위원인 팝핀현준의
표정이 너무 굳어있어서 무대위에서 즐긴다....라는 생각을 할 수가 없었다..
배틀때도 그 기분들이 반영되었는지 평소처럼 하지도 못했고.. 역시 탈락했다..
아마도 퍼포때 심사위원들이 좋지 않게 봤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 생각해보니.. 난 이 영상을 잘 보지 않는다.. 시간이 지나고 내가 봐도 이렇게 흥이 안나는데
보는 이들은 어땠을까...떠올려본다...
허나 이제는 그걸 느껴봐야.. 어쩔순 없다..
* 공통점
이번엔 무릎팍도사에 양희은이 나왔다..우연찮게도 쇼바이벌의 심사위원이기도 하다.
이 프로를 보면 평소에 아무 느낌 없는 사람에게 호감을 느끼게 되고,
세상은 넓다..그리고 난 아직 실패를 겪어본적이 거의 없다...라는 것에 대해 동의하곤 한다.
양희은은 공교롭게도.. 우리 어머니와 연세가 같았고.. 겪은 아픔마저 같았다..
그리고 노래... 어머니는 성악가가 꿈이었고, 8남매인 대가족인 집안에서 그당시 음대가
힘들었던 시절.. 꿈을 접고 결국 선생님을 하긴 했지만.. 항상 피아노와 노래를 즐겼고..
내가 듣기엔 굉장히 잘했다..
정말 화들짝 놀란건....아침이슬을 잘 불렀다는 것... 보면서 내내 공통된 것들에 놀라기만했다..
하지만 끝까지 다 공통되었으면 좋았을텐데..
* 착각
난 착각이라는 건 참 괜찮은 것이라고 생각했다.. 어떨땐 삶을 윤택하게 하기도 하고,
또 어떨땐 괜히 즐겁게도 하고.. 그 중 사실인것들과 아닌것들이 있지만.. 사실 '착각'이기에
사실이 아니어도 잠깐의 허무함을 느끼고 그냥 넘어가는 일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다른 사람에 대한 나의 존재성'에 대한 착각은 삶의 의미를 더해주지만 그 믿음이
강해지다가 오랜 후에 정말 이것이 말 그대로 큰 착각이라는것을 알게 되었을 땐
당연하게도 허한 기분이 오래 남을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모든 것들은 생각하기 나름이기에 착각이라는 것이 좋은 것일 수 있다.
자기 합리화, 정당화는 잘만 이용하면 살아가는데 스트레스를 덜어준다..착각도 마찬가지다..
근데 이것도 기회비용이 있나보다. 가장 무서운건 내가 하고 있는 건 '착각이 아니라 사실'
이라는 믿음이 생겨버린 후 가 아닐까?
쇼바이벌을 보면서 마지막 두 팀에게 전팀들에게 혹평을 해왔던 심사위원들이
무대위에서 즐기는 모습이 좋았다고 했고, 그리고 그 두팀은 나란히 1,2위를 했다.
갑자기 그 말을 듣고 있자니 공감이 되면서 05년 후반기에 코엑스 잼보리 배틀 대회에 나간
기억이 생각났다.. 원래는 퍼포먼스로 4팀을 뽑아 배틀을 진행하는 것이어서 배틀 레파토리를
상대적으로 적게 준비하고, 퍼포먼스를 더 연습 했던게 사실인데.. 거의 당일에 퍼포먼스는
그냥 하는것이고 배틀은 모든 팀들이 경합을 버리는것으로 하겠다고 통보되어..당혹감을
감추지 못한적이 있다.. 그날 퍼포를 하기전에 운영 방식에 짜증만 나있었고 게다가 시작부에서
애들이 미끄러운 바닥에서 실수를 하는 모습을 보고 무대까지 맘에 안들기 시작했다..
사실 온통 기분 좋지 않은 얼굴 표정으로 공연을 했고.. 자꾸..이제 무대에 설 날이 그리 많지 않은데
... 라는 생각만 하게 됬었다.. 사람들의 반응도 그랬지만 안무를 하면서 그때 심사위원인 팝핀현준의
표정이 너무 굳어있어서 무대위에서 즐긴다....라는 생각을 할 수가 없었다..
배틀때도 그 기분들이 반영되었는지 평소처럼 하지도 못했고.. 역시 탈락했다..
아마도 퍼포때 심사위원들이 좋지 않게 봤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 생각해보니.. 난 이 영상을 잘 보지 않는다.. 시간이 지나고 내가 봐도 이렇게 흥이 안나는데
보는 이들은 어땠을까...떠올려본다...
허나 이제는 그걸 느껴봐야.. 어쩔순 없다..
* 공통점
이번엔 무릎팍도사에 양희은이 나왔다..우연찮게도 쇼바이벌의 심사위원이기도 하다.
이 프로를 보면 평소에 아무 느낌 없는 사람에게 호감을 느끼게 되고,
세상은 넓다..그리고 난 아직 실패를 겪어본적이 거의 없다...라는 것에 대해 동의하곤 한다.
양희은은 공교롭게도.. 우리 어머니와 연세가 같았고.. 겪은 아픔마저 같았다..
그리고 노래... 어머니는 성악가가 꿈이었고, 8남매인 대가족인 집안에서 그당시 음대가
힘들었던 시절.. 꿈을 접고 결국 선생님을 하긴 했지만.. 항상 피아노와 노래를 즐겼고..
내가 듣기엔 굉장히 잘했다..
정말 화들짝 놀란건....아침이슬을 잘 불렀다는 것... 보면서 내내 공통된 것들에 놀라기만했다..
하지만 끝까지 다 공통되었으면 좋았을텐데..
* 착각
난 착각이라는 건 참 괜찮은 것이라고 생각했다.. 어떨땐 삶을 윤택하게 하기도 하고,
또 어떨땐 괜히 즐겁게도 하고.. 그 중 사실인것들과 아닌것들이 있지만.. 사실 '착각'이기에
사실이 아니어도 잠깐의 허무함을 느끼고 그냥 넘어가는 일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다른 사람에 대한 나의 존재성'에 대한 착각은 삶의 의미를 더해주지만 그 믿음이
강해지다가 오랜 후에 정말 이것이 말 그대로 큰 착각이라는것을 알게 되었을 땐
당연하게도 허한 기분이 오래 남을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모든 것들은 생각하기 나름이기에 착각이라는 것이 좋은 것일 수 있다.
자기 합리화, 정당화는 잘만 이용하면 살아가는데 스트레스를 덜어준다..착각도 마찬가지다..
근데 이것도 기회비용이 있나보다. 가장 무서운건 내가 하고 있는 건 '착각이 아니라 사실'
이라는 믿음이 생겨버린 후 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