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shinyroot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08. 3. 3. 01:51 Life/Monolog
어렸을 때 엄마는 내가 책을 한권이라도 읽어보는게 소원이라고 하실 정도로
잔소리를 많이 하시고 보지도 않을 책을 전집으로 구입해서 책꽂이에 꽂아놓곤
하셨다.. 혹시나 저렇게 눈에 띄면 한권이라도 빼볼까 하는 마음에서였겠지만
난 무슨 오기인지 아주 깨끗하게 빼보지도 않았다..
그나마 방학숙제로 나오는 독후감을 쓰기 위해 책마다 맨 마지막에 있는 줄거리를
보고 후다닥 대충 써냈던 것이 내가 한 독서(?)와 글쓰기의 끝이다..

고등학교때도 그 오기는 계속 되어 교과서 또한 받으면 방어딘가에 짱박아 놓고
매번 학교에 가지고 가지 않았었고.. 책 안가져온 사람들 한번씩 검거할때 맞곤 했다.
시험때는 역시 요약된 자습서같은걸 보고 대충 본것이 다였다..
뭐 어찌어찌해서 고3 중반에 공부안하면 뭐 되겠다 싶어서 교과서들을 하루내내
다시 다 찾아모아 먼지를 털어내고 보기 시작하긴 했지만 수능이 끝나곤
다시 책과는 빠이빠이한게 사실이다...

그래도 정신은 차렸는지 영어도 싫어하는 내가 영어로 된 전공책은 읽기 시작했지만
세상을 알게 해준다는 많은 책들은 역시 손도 대지 않았던 나다...

왜 갑자기 옛날 얘기를 끌고 들어와 이 난리냐?
대학원은 연구하는 곳이다.. 개발만하는 곳도 아니고 공부만하는 곳도 아니다..
공부를 해서 얻은 배경지식을 기반으로 많은 사람들이 한 일을 찾아 분석하고
새로운 것을 생각하고 그것을 개발하여 구현하고
실험으로 증명까지 한다음에 결국 이것들을 최종 마무리 하는 글쓰기 작업에 들어간다..
쉽게 말하면.. 마지막에 글쓰기를 못하면 앞의 일들이 모조리 물거품이 된다는 것이다.

다 된 작업으로 글을 풀어나가야 하는 논문은 그나마 낫다..
아무것도 되지는 않았지만 뭔가를 제안하고 설득해야하는 글은 정말로 곤욕이다..
특히 나같이 책한권 제대로 읽지 않은 종자한테는 말이다..ㅋ
슬며시 선생님이셨던 어머니의 말씀이 그대로 떠오르기 시작한다..

어렸을때 들었던 "나중 되면 안다...멍청한 놈" 이라는 말들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진짜 나중되니까 알겠네 ㅋ
고등학교때도 우겼었다.. 난 이과라고 .. 하지만 돌아오는것은 혀끓는 소리뿐 ㅋ
사실 어머니가 했던 말씀중에 틀린말은.......................진짜 하나도 없는듯 하다..
정말 내 자식이 나같을까봐 심각하게 고민한적이 있다 =.=

그냥 글 읽기 글 쓰기에 유난히 취약해서  골머리 아픈게 이만저만이 아니다
어렸을 때 왜 다들 '국영수' 가 중요하다고 하는지 알겠다..ㅋ 왜 여기에 과학이
안들어가냐고 우겼었는데.. 뭐 딱히 과학은 못해도 살아갈만 하다 ㅋ 이 세개가
잘 안되니까 영 장애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사실 못하는게 많아서 세상이 살만한건 맞다ㅋ
답답해 하기 전에 이제 부터라고 조금 씩 해야지... 하는데 왤케 난 지금까지
말을 들어쳐먹지 않고 딥따 늦게 느끼는지 하는 생각도 조금씩 든다 ㅋㅋ

이제 책좀 볼까~~ 자꾸 저질문장만 나와서 걱정이다 ㅋㅋㅋ-_-;
posted by shinyroot
2008. 2. 19. 03:27 Life/Photo Log
개강하고 정말 미친듯이 바르게 살아보자하여 아침에 일어나서 운동
랩에 출근하여 웹질 안하고 열심히 공부
퇴근 후 보람차게 운동

그리고 3일...

다시 점심 기상.. 먹는 둥 마는 둥.. 저녁 폭식..
먹고 들어오면 졸려오고.. 비로소 오늘 한게 하나도 없다는 사실에
일에 몰두하려 하지만 실패... 새벽이 되 갈수록 고요하고
나도 모르게 마우스에 손이.. 최근 대회 영상을 보던가 웹질..
새벽 3시 지금쯤.. 발등에 불떨어져 막판 스퍼트...
새벽 4시..5시..... 잠 ... 운동은 무슨.. 피곤한데 -_-

지금하는 것만 끝내고는 꼭 돌아가고 싶다 작심 3일을 100번정도 하면
일년은 버틸 수 있을텐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본문과도 상관없이 올리는 사진을 '짤방'이라고 하던데.. 그게 짤림방지의 줄임인지는 사실 몰랐다 ㅋ 내가 주인장이니까 짤림방지는 아니군ㅋ 최근 수원에서 ㅋ


posted by shinyroot
2008. 2. 18. 02:25 Life/Monolog
연구의 순서는
'이런게 정말 필요할 것 같은데..'
'이런거는 누가 누가 해본 걸까'
'얘네들은 이렇게 했네.. 이와 달리 이렇게 하면 좋겠다'
'해보자'

가끔 보면
'누가누가 안 건드린게 있나?'
'오호 이걸 아무도 안건드렸네 재미있겠는데 해보자'
'근데 이게 필요할까?'
'흠..딱히 필요도 없는데..남들것보다 좋지도 않네..'
'포장 잘해보쟈..누군가는 인정해주겠지(속겠지)...'

제안서의 순서는
'우리는 정말 이런저런 할께 있어..이건 정말 필요할꺼 같아'
'근데 우리한테 투자해줄 사람 없을까?'
'그래 제안서를 내보자'

가끔 보면
'제안서를 써보자'
'흠.. 아이디어가 뭐가 있을까...'
'막 써놓고 본다....... (이게 과연 얼마나 필요할까...되도 큰일이겠는데?)'


뭐가 맞는 순서인지는 직관적으로 보인다.

항상 생각과 행동의 순서를 생각하고 사는건 아닌데, 뭔가 마무리 지을때 생각해보면
뭔가 여튼 잘못된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없지 않다.
비보잉을 시작했을때 '내가 저거하면 어떤 느낌일까? 해보고 싶어' 다음에 '죽어라 해보자'
였던 걸 생각하면 뭔가 행동이 앞선적은 별로 없었던 것 같고.. 역시 생각을 먼저 해야
오래동안 만족할 수 있는법..

posted by shinyroot